새천년개발목표(MDGs) 달성시한을 2년 앞두고, 2015년 이후의 새로운 국제개발 의제 및 프레임워크 구성에 대한 유엔 중심의 논의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현재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임명한 27명의 고위급패널(HLP)을 중심으로 시민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개발행위자의 의견 수렴이 진행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반 총장은 6월경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또한 2013년 9월 개최되는 UN 정기총회(post-MDGs 특별행사)에서 반 총장님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Post 2015 개발 프레임워크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전개될 예정입니다. 이미 주요 국제개발CSO들은 이와 관련한 보고서와 입장문서를 발간 및 제출하였고, 국내에서도KCOC는 GCAP, KoFID와 함께 이와 관련한 토론회를 세 차례 가졌습니다.
지난 2월 2일 방콕에서, 아시아 10여개국 15개 개발단체 협의체(National Platform)와 20여개 국제 개발관련 CSO의 연대기구로 출범한 아시아개발연대(Asia Development Alliance, ADA)는 Post 2015 과정에 적극 참여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KCOC는 이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공동 의장국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KCOC의 본 토론회는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 개도국 현장사업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조직하였습니다. 특히 개발 현장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CSO의 입장을 소개하면서 동시에 한국적 맥락과 현실을 반영한 현장사업 중심CSO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개발NGO 대표자 및 실무자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