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정책제안 타운미팅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보호 방안' |
 |
'미래비전 2013'시민멘토단은 시민, 전문가 등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정책에 대한 대안개발을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모임입니다. 시민멘토단은 '정책제안 타운미팅'을 통하여 10대 민생정책에 대한 현실적용가능한 대안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0월 27일 미래비전2013과 전국유통상인연합회(회장 인태연)가 공동으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보호 방안'을 가지고 '정책제안 타운미팅'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타운미팅을 통해 나온 결과는 보고서로 작성하여 야권 후보에게 전달됩니다. 시민멘토단에는 시민이면 누구나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민주·진보 진영의 승리를 염원하는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 |
*프로그램* |
|
1.일시: 2012년10월27일 오후2시-6시 2.장소: 민주노총서울본부 2층 대강당 (서울 은평구 불광역 근처) 3.주제: 골목시장 및 전통시장 보호 방안 4.발제: 배재용 전국유통상인연합회 사무국장 김진철 망원시장상인회 총무 (합정동 홈플러스 입점저지 활동 중) 5.방식: 시민멘토단에 의한 정책제안 타운미팅 6.총괄진행: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 소장 7.공동주최: 미래비전2013 전국유통상인연합회 8.참가비: 오천원(5,000원)
* 타운미팅(Town Meeting)이란: 시민(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에 대해 자발적으로 참여(參與)한 시민이 중립적인 진행자(Facilitator)의 안내에 따라, 숙의(熟議)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에 대한 합의(合議)를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직접민주주의의 한 형태 | | |
|
|
정책제안 타운미팅 전체 계획표 (일정은 변동이 있을 수 있음) |
|
|
 |
| |
*제3회 타운미팅에 참여 방법 안내* |
|
1.타운미팅 주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보호 방안 2.타운미팅 참가: 대형마트,SSM 관련 중소상인 및 단체 주제에 관심있는 시민 3.신청 기한: 2012년10월26일까지 4.신청 방법: 이메일- rosakim@socon.re.kr 전 화- 02-730-0430 (성함/연락처/소속) | | |
|
|
찾아오시는길 |
|
|
 |
| |
*교통편 안내* |
|
1.지하철: 3호선 불광역 2번 출구 2.버 스: 불광역 정류장 하차버스 471, 701, 703, 704, 706, 720, 7720, 9703, 9709, 9710 대중교통 하차 후 홍제방향으로 30m 정도 걸음 옛날 질병관리본부있던 곳으로 들어옴
3. 자가용 이용시: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5 (옛날 질병관리본부) | | |
|
|
제2회 정책제안 타운미팅 행사 이모저모 주제:서민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 |
|
|
 |
| |
제2회 정책제안 타운미팅 이모저모 |
|
미래비전2013 시민멘토단이 주최한 제2회 정책제안 타운미팅이 성황리에 치뤄졌다. '서민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라는 주제를 놓고 시민, 전문가, 뉴타운 재개발 지역 주민, 세입자 등이 모여 서민주거환경 관련 정책의 현황과 경험, 개선점 등을 자유롭게 논의하였다. 타운미팅을 나온 정책제안 내용은 정리하여 야권 후보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 | |
타운미팅 퍼실리테이터(진행자)2차 교육안내 |
|
타운 미팅 소그룹 논의과정을 진행할 퍼실리테이터(진행자) 교육을 진행합니다. 1. 제2차 퍼실리테이터 교육 2. 일시: 2012년 10월 27일 10시~12시 3. 장소: 사회갈등연구소 강의장 4. 비용: 교육은 무료, 이후 중식은 각자 부담 * 이후 2시에 진행될 예정인 제3차 타운미팅 참여를 위해 불광동으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 | |
*미래비전2013 시민멘토단 지원 활동이란?* |
|
미래비젼 2013은 자발적인 시민 전문가들이 모인 시민멘토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번 째 사업으로 시민생활에 밀접한 현안과 정책에 관하여 숙의(熟議) 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에 대한 합의(合議)를 도출하는 타운미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원단은 다양한 전문가 시민 50여명이 모여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단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참여 방법 1. 정기회의 참여: 매주 화요일 저녁7시 2. 장소: 사회갈등연구소 강의장 3. 참여 문의: 사회갈등연구소 02-730-0430 | | | |